정부 보조금 공모사업 정보

기획재정부 국고보조금 공모사업 신청방법, 정보리스트

「2025년 영상 기반 버섯 재배환경 자동제어 기술개발」 보조사업자 모집 공고

항목 내용
사업년도 2025
분야명 농림수산
공모기관구분 광역자치단체
공모기관명 경기도
공고명 「2025년 영상 기반 버섯 재배환경 자동제어 기술개발」 보조사업자 모집 공고
보조사업명 경기 표고 완성형배지 생산성 향상 및 인공지능 기반 환경제어 자동화 (균특/직접)(보조)
공고일자 20250401 ~ 20250414
지원예산액 100,000,000원
담당자 박남원
담장자이메일 pnamwon@gg.go.kr
담당자전화번호 031-8008-9497
사업개요 ❍ 사업근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운영 규정, 매뉴얼 ❍ 사 업 명: 2025년 영상 기반 버섯 재배환경 자동제어 기술개발 ❍ 사 업 비: 금100,000천원(국비 50%, 도비 50%) ※ 민간경상사업보조 ❍ 사업기간: 보조사업자 선정일 ~ 2025년 12월 ❍ 사 업 량: 1개소(국고보조사업자) ❍ 사업대상: 스마트팜 관련 기술 보유 민간단체
사업목적내용 ◈ 버섯 산업 발전을 위한 민간 주도의 디지털농업 기술개발 촉진 ◈ 민간 보유 역량 활용을 통한 경기도 지역특화작목 연구 분야 확대
기대효과내용 ❍ 머신러닝, 딥러닝 등 인공지능 기술 적용을 통해 버섯(표고) 스마트팜을 중심으로 농업 분야의 자동 생육 측정 및 환경제어 기술 고도화를 촉진 ❍ 스마트팜 자동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표고 재배 환경 관리에 따른 기술적 위험도를 완화하고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기여.
지원내용 ❍경기도 주관 지역특화작목 연구 (세부)과제 “영상 기반 표고 재배 환경 자동제어 기술개발” 수행 관리 및 사업비 지원
사업설명회내용 ○ 사업내용: 보조사업자가 수행할 세부과제 내용은 ‘붙임’ 연구개발계획(안) 참조 - 위탁연구개발기관으로서 경기도 주관 지역특화작목 기술개발 과제(과제명: 경기 표고 완성형 배지 생산성 향상 및 인공지능 기반 환경제어 자동화)에 참여 - 해당 과제의 4개 세부과제 중 1개 세부과제(세부과제명: 영상 기반 표고 재배 환경 자동제어 기술개발)의 1년차 연구개발 수행 및 성과 도출 ※ ‘보조사업자’가 세부과제 수행을 통해 도출한 모든 연구 성과는 ‘경기도’에 귀속됨 - 주관기관이 과제 목표 달성을 위해 요청하는 기타 기술적·행정적 지원 등
신청접수방법내용 Http://www.gg.go.kr/bbs/boardView.do?bsIdx=469&bIdx=163580930&page=2&menuId=1547&bcIdx=601
접수일자 20250401 ~ 20250414
사업일자 20250701 ~ 20251231
신청접수방법내용 Http://www.gg.go.kr/bbs/boardView.do?bsIdx=469&bIdx=163580930&page=2&menuId=1547&bcIdx=601
접수기간설명 ○ 신청기간: 2025. 4. 1. ~ 2025. 4. 14. 18:00
제출서류안내내용 ○ 제출서류 ① 지방보조금 지원신청서(서식 1) 1부 ② 지방보조금 신청 사업계획서(서식 2) 1부 ③ 단체소개서(서식 3) 1부 ④ 법인등기부 등본 또는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증 사본 1부
선정기준설명 ○ 선정기준 - 사업수행능력 및 전문성(기술·인력 보유, 최근 3년간 유사 사업실적 등) - 사업 내용(사업이해도, 사업수행절차, 기술의 적절성 등) - 예산편성 적정성
지원대상내용 □ 신청자격 ○ 최근 3년간 작물 영상 관련 연구·개발 실적이 있는 단체 ○ 무선통신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스마트팜 시스템 H/W(KC인증 제품) 생산 및 S/W 개발 단체 □ 사업자 선정위원회 심사, 지방보조금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보조사업자로 선정된 단체
선정결과통보방법내용 ○ 심사결과 발표 : 보조사업자로 선정된 단체에 개별통지
제외대상내용 - 지방보조사업의 수행대상 배제 및 지방보조금 교부의 제한을 받은 경우 - 중복수급 해당하는 경우 - 특정정당 또는 선출직 후보를 지지·지원 또는 반대할 것을 주된 목적으로 설립·운영되는 단체
추진절차내용 ○ 선정절차 - 신청·접수 → 사업자 선정위원회 심사 → 지방보조금심의위원회 심의·결정 → 결정
선정일자 20250530
통보일자 0
기준일자 20250925